부산상의, ‘르노삼성차 임단협’ 조속한 타결 촉구… 노조는 천막농성 예고
부산상의, ‘르노삼성차 임단협’ 조속한 타결 촉구… 노조는 천막농성 예고
  • 한승주
  • 승인 2019.05.24 06:22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조 “조직 재정비해 투쟁 승리할 것”… 27일부터 천막농성 돌입
협력업체‧부산지역경제, 막대한 피해 입어… 일부 업체, 매출 40%까지 감소
부산상의 “협력업체의 노고, 지역경제의지지를 잊지 말아야”
파업으로 가동이 멈춘 르노삼성 부산공장. 사진=르노삼성자동차
파업으로 가동이 멈춘 르노삼성 부산공장. 사진=르노삼성자동차

[스마트경제] 르노삼성자동차 임단협 잠정합의안이 노조 찬반투표에서 부결되자 부산상공회의소가 노사를 향해 대승적인 차원의 합의를 요구하고 나섰다. 반면 노조는 천막농성과 고공시위 등 강경행위를 예고했다.

지난 21일 르노삼성차 노조는 2018년 임금 및 단체협약 잠정합의안을 놓고 조합원 투표를 벌여 51.8%의 반대로 합의안을 부결했다.

부산공장 중심으로 조합원 규모가 가장 많은 기업노조는 찬성 52.2%, 반대 47.2%로 합의안에 찬성했지만, 정비인력 위주의 영업지부에서 찬성 34.4%, 반대 65.6%로 반대가 높게 나타나면서 전체 투표결과가 부결됐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삼성차 노조는 지난 22일 오후 1시부터 긴급 쟁의대책위원회 등을 포함해 약 6시간 동안 내부 회의를 진행했다. 노조는 향후 재협상 여부나 향후 일정 등이 포함된 공문을 사측에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노조는 사측이 공문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을 경우 27일부터 천막농성에 돌입하기로 했다.

노조는 연대투쟁지를 발행하며 잠정합의안 부결의 원인을 “이익이 많이 난 지난 몇 년 동안 주주들에게는 고배당을 하면서 노동자는 최저임금에 미달했다는 게 컸고, 높은 노동강도를 완화할 수 있는 부분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부결에 담긴 뜻은 어떤 방식으로든 노조가 발전하는 방향으로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명령으로 알고 조직을 재정비해서 승리하는 투쟁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부산상공회의소는 르노삼성차 노사를 향해 협력업체와 지역경제가 받을 피해를 언급하며 새로운 협상 테이블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부산상공회의소와 부경대 경제사회연구소가 23일 작성한 르노삼성차 지역경제 기여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르노삼성차는 생산과 수출, 고용, 부가가치 창출 등에서 부산 1위 제조기업이다.

르노삼성차 매출이 부산지역 전체 제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7.83%에서 2014년 9.17%, 2015년 11.31%, 2016년 14.32%로 3년 새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부산 수출에서 차지하는 르노삼성차 비중도 2013년 9.16%, 2014년 10.04%, 2015년 14.09%, 2016년 15.73%, 2017년 19.3%까지 증가했다.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 전경. 사진=르노삼성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 전경. 사진=르노삼성자동차

부산지역에서 르노삼성차의 영향력이 큰 만큼 이번 조합원 투표의 부결로 인한 지역협력업체들의 막대한 피해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르노삼성차의 총 협력업체 고용인원은 5000명이 넘는다. 앞서 62차례 이어진 노조의 파업으로 판매실적이 급락한 탓에 일부 협력업체는 최대 40%까지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부산상공회의소는 22일 긴급성명문을 통해 “르노삼성차가 최근 6개월 동안 250시간의 부분파업으로 인해 2800억원에 달하는 직접적인 생산 차질은 물론이고 협력업체들의 피해규모 또한 상당한 가운데 어렵게 마련한 임단협 잠정합의안이 부결됨에 따라 협력업체와 지역경제계가 받은 충격은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허용도 부산상의 회장은 “르노삼성차 노조의 임단협 잠정협상안 부결은 르노삼성차가 잘 되길 바라는 지역사회 모두에게 대단한 충격을 안겨주었지만 찬·반에 대한 간극이 크지 않는 만큼 조속히 혼란을 수습한다면 양측 모두 승자가 될 수 있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노사가 더욱 허심탄회하게 회사의 미래를 걱정하고 소통하는 계기로 삼길 바라며 아울러 협력업체의 노고와 지역사회의 지지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한승주 기자 sjhan0108@dailysmart.co.k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지영 2019-05-24 08:11:26
노조들이 진짜 답이 없네 자기들은 돈이 많으니깐 그렇게 하겠지만 다른 사람들은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데 이딴식으로 하니 귀족노조 상위 1% 노조들아 정신 차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