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대진 건국대 교수 연구팀, 식물 환경재해 저항 유전자 발견
윤대진 건국대 교수 연구팀, 식물 환경재해 저항 유전자 발견
  • 복현명
  • 승인 2020.07.29 11: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뭄과 한파 등 재해 저항 원리 규명, 핵심저항성 유전자 동정
재해 저항성 식물개발 통한 환경문제 해결과 생산성 향상 토대 마련
윤대진 건국대학교 KU융합과학기술원 의생명공학과 교수. 사진=건국대.
윤대진 건국대학교 KU융합과학기술원 의생명공학과 교수. 사진=건국대.

[스마트경제=복현명 기자] 윤대진 건국대학교 KU융합과학기술원 의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가뭄과 한파 등에 따른 식물의 환경재해 저항성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ABA(Abscisic acid)의 신호전달 과정을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찾아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식물학 분야의 저명 국제저널인 ‘Molecular Plant(IF=12.08, 분야 상위 1.5 %)’와 2편의 ‘Plant Physiology (IF=6.90, 분야 상위 4.5%)’ 8월호에 동시 발표됐다.

식물이 가뭄과 한파 등을 견디는 환경재해 저항 조절 호르몬인 ABA를 매개로 하는 신호전달과정에는 수용체(PYL), 탈 인산화효소(ABI), 인산화효소(SnRK), 그리고 전사조절인자(ABF)가 관여한다. 다양한 외부 환경변화에 의해 식물 세포내의 ABA농도가 상승하게 되면 ABA에 결합한 수용체는 인산화효소인 SnRK의 작용을 억제하고 있던 탈인산화 효소인 ABI를 SnRK로부터 격리하게 되고 그 결과 SnRK는 자가 인산화에 의해 활성화하게 된다.

이렇게 활성화된 SnRK는 하위에 있는 전사조절인자인 ABF를 인산화해 궁극적으로는 식물의 다양한 생체현상에 관여하는 여러 하위 유전자들을 발현시키게 되는데 윤대진 건국대 교수팀은 이러한 신호전달의 전 과정을 규명했다.

또 윤 교수팀은 식물 세포 내의 ABA 생합성에 관여하는 핵심 효소인 NCED (9-cis-epoxycarotenoid dioxygenase) 유전자의 프로모터(promoter) 부위에 전사조절 인자인 EEL (Enhanced EM Level)과 식물 생체리듬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인 GI (GIGANTEA)가 상호결합해 발현을 유도하고 그 결과 세포 내의 ABA가 합성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렇게 합성된 ABA는 ABA매개 신호전달을 조절해 식물을 여러 환경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할 뿐만이 아니라 식물의 배(胚)발생, 성장발달도 조절한다는 새로운 사실도 발견했다.

윤대진 건국대 KU융합과학기술원 의생명공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로 식물이 어떻게 스트레스 방어 호르몬인 ABA를 생합성 하는지가 규명됐고 이렇게 생성된 ABA가 세포내에서 어떠한 과정을 통해 신호를 생성하고 전달하며 최종적으로 소멸되는가를 분자 수준에서 이해 할 수 있게 됐다”며 “이러한 ABA 생합성과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유용유전자들에 대한 유전정보들을 이용하게 되면 실용 가능한 수준에서의 재해 저항성 식물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사막화로 인한 환경문제와 미래 인류가 당면할 식량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식물학분야의 저명저널인 ‘Molecular Plant’와 ‘Plant Physiology’에 동시에 게재된 이번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글로벌연구실(Global Research Lab) 과제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윤대진 교수 연구실의 알리 박사와 백동원 박사 각각 제1저자로, 윤대진 교수가 교신저자로 게재됐다.

 

복현명 기자 hmbok@dailysmar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