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호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 차세대 무음극 전고체 전지 음극 집전체 소재 개발
유승호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 차세대 무음극 전고체 전지 음극 집전체 소재 개발
  • 복현명
  • 승인 2024.04.15 10: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승호(왼쪽)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최지원 박사, 이지현 고려대 석사과정생, 오상환 박사과정생, 임해나 박사, 이홍주 석사. 사진=고려대.
유승호(왼쪽)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최지원 박사, 이지현 고려대 석사과정생, 오상환 박사과정생, 임해나 박사, 이홍주 석사. 사진=고려대.

[스마트경제=복현명 기자] 유승호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최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 연구팀은 음극 집전체 표면에 리튬 친화성 금속 코팅층을 적용해, 차세대 무음극 전고체 전지의 계면 안정성을 높여 장기 구동을 확보, 무음극 전고체 전지 시스템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Energy Storage Materials’(IF=20.4)에 4월 8일 온라인 게재됐다.

전고체 전지는 기존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와는 다르게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유기 액체 전해질을 사용했을 때의 발화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차세대 전지이다. 

또한 전지의 4대 요소 중 ‘음극’을 넣지 않은 무음극 전지는 에너지 밀도를 최상으로 높일 수 있는 전지이다. 

발화성을 낮추고 에너지 밀도를 높인 무음극 전고체 전지는 최근 학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차세대 전지 중 하나이다. 

그러나 무음극 전고체 전지는 음극 집전체와 고체 전해질 사이의 계면 안정성이 떨어져 장기 구동이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계면 안정성을 높여 장기 구동을 달성시키는 선행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무음극 전고체 전지 시스템에서 음극 집전체는 Stainless steel로 리튬과 친화도가 떨어져 충전 시 리튬 이온이 음극 집전체에 균일하게 전착 되지 않아 리튬 수지상을 야기해 전지 단락을 일으킨다. 

이에 리튬 이온의 균일한 전착을 위해서는 음극 집전체 표면을 리튬 친화성 물질로 코팅해 고른 전착을 유도하는 방법이 선행 연구됐다. 

특히 리튬과 친화성이 큰 은(Ag)의 경우 리튬과 Alloy 반응을 일으키며 무음극 전고체 전지 집전체에 사용했을 때 큰 성능 향상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리튬 친화성이 높은 은에 소량의 인듐(In)을 첨가하여 소량의 인듐이 은과의 시너지 효과를 일으킨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기존의 은만을 코팅했을 때보다 인듐의 소량 첨가는 3배 이상의 성능 향상을 야기했다. 

본 연구진은 Co-sputter 코팅 기법을 활용해 은과 인듐을 음극 집전체 위에 코팅했으며 소량의 인듐을 첨가했을 때의 효과를 전기화학분석, 계산화학 결과를 종합해 밝혀냈다.

유승호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는 “무음극 전고체 전지는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지 시스템으로 학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분야다”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무음극 전고체 전지의 낮은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전략으로 리튬 친화성 금속을 코팅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여줬고 무음극 전고체 전지의 계면, 성능 향상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본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우수신진연구자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복현명 기자 hmbok@dailysmar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