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경제=복현명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50%로 동결했다.
이는 물가, 환율이 최근 잡혀가고 있는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조정하다가 부동산, 금융 시장 불안으로 인한 부작용이 클 수 있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특히 미국과의 금리차(2.0%포인트)를 볼 때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연준)의 9월 통화정책 여부를 확인한 뒤 움직임을 보이겠다는 의도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결쟁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했다. 지난해 2월부터 13차례 연속으로 이어진 동결로 역대 가장 긴 1년 7개월간 같은 수준의 기준금리 운용이 이어지게 됐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거래량과 가격이 치솟고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압박에 7월 이후 은행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대출 금리를 인위적으로 올려왔지만 가계대출 증가세도 쉽게 꺾이지 않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최근 "통화정책 방향 전환 상황은 조성됐지만 외환시장, 수도권 부동산, 가계부채 등 앞에서 달려오는 위협 요인이 많아 언제 전환할지는 불확실하고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며 “한은이 유동성을 과도하게 공급한다든지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해 잘못된 시그널(신호)을 줘서 주택가격 상승을 촉발하는 실수는 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금융통화위원 모두 공감했다"고도 언급하기도 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앞서 7월 2.5%를 기록해 물가 안정 확신이 무르익고 있는 상황과 2분기 국내총생산(GDP)에서 확인된 소비·투자 등의 내수 부진은 금통위에 기준금리 인하 명분을 준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왔다.
하지만 폭우·폭염 등 기상 악화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 공공요금 인상을 비롯한 하반기 불확실성 요인이 남아 있어 향후 물가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와 이에 한은 금통위가 이를 보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금통위는 코로나19 확산 당시인 2020년 기준금리를 0.5%까지 내린 이후 2021년 주요 선진국보다 먼저 인상에 돌입해 1년 반 동안 10회 총 3%포인트(p)에 달하는 빠른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이후 연속 동결에 들어가 지난 1월에는 '추가 인상 필요성' 문구를 삭제함으로써 추가 인상 여지를 사실상 없앴다. 이어 7월에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하는 가운데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검토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한·미 정책금리 역전 폭은 이번에도 역대 최대인 2%p를 유지하게 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오는 9월 정책금리 인하가 최근 시장에서 확신에 가까워져 다음 달에는 역전 폭이 1.75%p로 한 단계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한·미 금리 역전 자체는 계속되면서 기존 최장 역전 기록인 2005년 8월~2007년 9월(26개월)을 다음 달에 갈아치울 전망이다.
복현명 기자 hmbok@dailysmar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