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상욱 상명대 화학에너지공학전공 교수 연구팀, 휴대폰·전기자동차 등 배터리 폭발위험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혁신적 기술 개발
강상욱 상명대 화학에너지공학전공 교수 연구팀, 휴대폰·전기자동차 등 배터리 폭발위험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혁신적 기술 개발
  • 복현명
  • 승인 2023.12.06 10: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상욱 상명대학교 화학에너지공학전공 교수. 사진=상명대.
강상욱 상명대학교 화학에너지공학전공 교수. 사진=상명대.

[스마트경제=복현명 기자] 강상욱 상명대학교 화학에너지공학전공 교수 연구팀이 리튬배터리용으로 사용되는 기존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단점인 낮은 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혁신적인 제조공정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기존 기술로는 배터리의 온도가 어느정도 올라가면 폭발하는 위험성을 갖고 있었다면 이번 개발된 기술은 기존보다 배터리의 온도가 약 100도 정도 더 상승해도 폭발하지 않고 버틸 수 있는 획기적인 신기술인 것이다. 

이로써 휴대폰, 전기차 등에서 발생하는 폭발위험을 현저히 낮추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배터리 시장은 전기차, 이동통신, 가정용 전력저장, ESS(에너지저장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의 폭발적인 수요로 인해 매우 유망한 산업분야로 평가받는다. 

게다가 기존 산업을 이끌고 있는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가전, 석유화학제품, 바이오의약 등과 더불어 ‘배터리’ 분야는 대한민국의 산업을 이끌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배터리 화재사건은 에너지밀도, 출력특성 향상 외에 안전성 향상 기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강상욱 상명대 교수 연구팀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 물질을 활용해 다공성 폴리머를 제조함으로써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낮은 열 안정성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CA 소재 내 부분 유연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glycolic acid를 사용했다. 

이 부분 유연 영역에 적정 질소 압력을 가해 직진형에 가까운 다공성 분리막을 제조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는 안전성 증대 외에 리튬이온 전도도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 제조공정이다.

연구팀은 제조된 분리막의 평균 구멍 크기가 150nm이며 다공성이 77%라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질소 압력을 활용해 작은 구멍을 가진 직진형 다공성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이 개발됐다는 점이 매우 주목할 만하다. 

또한 개발된 소재, 제조공정은 환경 친화적이며 이전 연구보다 저렴하게 대면적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개발된 연구성과는 Carbohydrate Polymers 저널에 2023년 12월호에 게재됐으며 Carbohydrate Polymers 저널은 피인용지수(impact factor)가 11.2이며 JCR(Journal Citation Reports)의 Polymer Science 분야에서 상위 3.5% 안에 속하는 세계적인 저명해외학술지로 알려져 있다. 

 

 

복현명 기자 hmbok@dailysmar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